모듈식 백엔드 아키텍처로 유지 관리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구축
Olivia Novak
Dev Intern · Leapcell

소개
백엔드 개발의 진화하는 환경에서 확장 가능하고 유지 관리 가능한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프로젝트가 복잡해짐에 따라 모놀리식 코드베이스는 빠르게 병목 현상이 되어 개발 속도를 저해하고 버그 밀도를 높이며 협업을 어렵게 만듭니다. 모듈식 아키텍처 패턴은 대규모 시스템을 작고 관리 가능하며 독립적으로 배포 가능한 단위로 분해할 수 있도록 하여 이러한 문제에 대한 강력한 솔루션으로 등장합니다. 이 글에서는 다양한 백엔드 생태계의 세 가지 주요 모듈화 전략인 Django 앱, Flask Blueprint, NestJS 모듈을 심층적으로 살펴봅니다. 핵심 개념, 이를 통해 구조화된 개발을 촉진하는 방법, 실제 적용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견고하고 유지 관리 가능한 대규모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는 데 있어 이러한 전략의 중요성을 조명할 것입니다.
모듈식 백엔드 구성 요소 이해
각 프레임워크의 접근 방식의 세부 사항을 살펴보기 전에, 이러한 모듈식 구성 요소가 구현하는 기본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핵심적으로 이러한 패턴은 애플리케이션의 기능을 분할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는 일반적으로 라우팅, 뷰/컨트롤러, 모델, 비즈니스 로직, 정적 파일 및 템플릿과 같은 관심사를 별도의 자체 포함 단위로 분리하는 것을 포함합니다. 이러한 분리는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재사용성 및 테스트 용이성을 크게 향상시킵니다.
주요 용어
- 관심사 분리: 기능적으로 최대한 겹치지 않는 별개의 기능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을 분해하는 원칙.
- 모듈성: 시스템의 구성 요소를 분리하고 재결합할 수 있는 정도.
- 확장성: 리소스를 추가하여 증가하는 작업량을 처리할 수 있는 시스템의 능력.
- 유지 관리성: 결함을 수정하거나 성능을 개선하거나 변경된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애플리케이션을 수정할 수 있는 용이성.
- 재사용성: 기존 구성 요소 또는 기존 설계의 측면을 새 애플리케이션 또는 설계에서 사용할 수 있는 능력.
- 의존성 주입: 종속성 해결을 위해 제어 반전을 구현하는 소프트웨어 디자인 패턴.
Django 앱: 모듈화를 위한 '배터리 포함' 접근 방식
'배터리 포함' 철학으로 알려진 Django는 프로젝트를 '앱'으로 구성합니다. Django 앱은 프로젝트 내에서 특정 기능 또는 기능 집합을 캡슐화하는 자체 포함 모듈입니다. 예를 들어, 블로그 애플리케이션은 users
, posts
, comments
에 대한 별도의 앱을 가질 수 있습니다. 각 앱은 자체 모델, 뷰, URL, 템플릿, 정적 파일 및 데이터베이스 마이그레이션을 가질 수 있어 다양한 Django 프로젝트에서 이식성이 뛰어나고 재사용성이 높습니다.
원칙 및 구현
Django 앱은 긴밀하게 결합된 로직이 함께 있어야 한다는 아이디어를 촉진합니다. 앱을 만들면 Django가 구조를 생성해 줍니다.
# blog_project/blog_project/urls.py from django.contrib import admin from django.urls import path, include urlpatterns = [ path('admin/', admin.site.urls), path('posts/', include('posts.urls')), # 'posts' 앱에서 URL 포함 path('users/', include('users.urls')), # 'users' 앱에서 URL 포함 ]
# blog_project/posts/urls.py from django.urls import path from . import views urlpatterns = [ path('', views.post_list, name='post_list'), path('<int:pk>/', views.post_detail, name='post_detail'), ]
# blog_project/posts/views.py from django.shortcuts import render, get_object_or_404 from .models import Post def post_list(request): posts = Post.objects.all() return render(request, 'posts/post_list.html', {'posts': posts}) def post_detail(request, pk): post = get_object_or_404(Post, pk=pk) return render(request, 'posts/post_detail.html', {'post': post})
이 예에서는 posts
앱이 블로그 게시물과 관련된 모든 것을 관리하고 users
는 사용자 관련 기능을 유사하게 처리합니다. 이러한 명확한 분리는 새 기능을 추가하고 기존 기능을 이해하며 심지어 다른 프로젝트에서 앱을 추출하여 사용하는 것을 쉽게 만듭니다.
사용 사례
Django 앱은 개별적으로 개발 및 유지 관리해야 하는 뚜렷한 기능을 가진 다기능 웹 애플리케이션에 이상적입니다. 강력한 ORM(객체 관계 매핑), 관리자 패널 및 복잡한 웹 서비스의 빠른 개발이 필요한 시나리오에 탁월합니다.
Flask Blueprint: 마이크로 프레임워크의 모듈식 확장
'마이크로 프레임워크'인 Flask는 'Blueprint'를 통해 모듈성을 제공합니다. 기본적으로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Django 앱과 달리 Flask Blueprint는 관련 라우트, 정적 파일, 템플릿 및 구성 설정 그룹을 구성하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Blueprint는 본질적으로 Flask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에 등록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구조를 생성할 수 있도록 합니다.
원칙 및 구현
Blueprint를 사용하면 개발자가 애플리케이션을 더 작고 재사용 가능한 구성 요소로 나눌 수 있으며, Flask 자체는 단일 애플리케이션 인스턴스로 유지됩니다. 이를 통해 기본 애플리케이션 내에서 '하위 애플리케이션'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 my_app/auth/views.py from flask import Blueprint, render_template auth_bp = Blueprint('auth', __name__, template_folder='templates', static_folder='static') @auth_bp.route('/login') def login(): return render_template('auth/login.html') @auth_bp.route('/register') def register(): return render_template('auth/register.html')
# my_app/app.py from flask import Flask from auth.views import auth_bp from posts.views import posts_bp # 'posts'에 대한 유사한 구조를 가정 app = Flask(__name__) app.register_blueprint(auth_bp, url_prefix='/auth') app.register_blueprint(posts_bp, url_prefix='/posts') @app.route('/') def index(): return "Welcome to the main page!"
여기서 auth_bp
는 인증 관련 라우트 및 템플릿을 캡슐화합니다. '/auth' URL 접두사를 사용하여 등록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모든 라우트가 이 접두사로 시작하도록 보장합니다. 이는 관심사의 명확한 분리를 제공하고 다른 Blueprint와의 URL 충돌을 방지합니다.
사용 사례
Flask Blueprint는 유연성과 덜 편향된 구조가 필요한 애플리케이션에 매우 중요합니다. RESTful API, 소규모에서 중간 규모의 웹 애플리케이션 구축 또는 기존 구성 요소를 더 큰 Flask 프로젝트에 완벽하게 통합해야 할 때 완벽합니다. 각 서비스가 내부적으로 Blueprint를 활용하는 Flask 앱일 수 있는 마이크로 서비스 아키텍처에서 빛을 발합니다.
NestJS 모듈: 구조화된 TypeScript 접근 방식
효율적이고 확장 가능한 서버 측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위한 편향된 점진적 Node.js 프레임워크인 NestJS는 모듈식 아키텍처를 위해 '모듈'을 활용합니다. Angular의 모듈식 설계에서 영감을 받은 NestJS 모듈은 관련 구성 요소(컨트롤러, 프로바이더, 기타 모듈)를 그룹화하여 애플리케이션 구조를 구성하는 @Module()
로 장식된 클래스입니다. 모듈은 기능을 캡슐화하고 종속성을 관리하는 경계를 제공하여 테스트 용이성과 유지 관리성을 프레임워크의 핵심 측면으로 만듭니다.
원칙 및 구현
NestJS에서는 모든 애플리케이션에 하나 이상의 루트 모듈, 일반적으로 AppModule
이 있습니다. 그런 다음 기능 모듈을 루트 모듈에 가져와 애플리케이션 기능을 확장합니다. 이는 강력한 계층적 구조를 만듭니다.
// src/auth/auth.module.ts import { Modu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AuthController } from './auth.controller'; import { AuthService } from './auth.service'; @Module({ controllers: [AuthController], providers: [AuthService], exports: [AuthService], // 다른 모듈에서 사용할 AuthService 내보내기 }) export class AuthModule {}
// src/app.module.ts import { Modu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AppController } from './app.controller'; import { AppService } from './app.service'; import { AuthModule } from './auth/auth.module'; import { PostsModule } from './posts/posts.module'; // 'posts'에 대한 유사한 구조를 가정 @Module({ imports: [AuthModule, PostsModule], // 기능 모듈 가져오기 controllers: [AppController], providers: [AppService], }) export class AppModule {}
이 설정에서 AuthModule
은 AuthController
(들어오는 요청 처리) 및 AuthService
(비즈니스 로직 포함)를 그룹화합니다. 그런 다음 AppModule
이 AuthModule
을 가져와 내보낸 AuthService
를 AppModule
범위 내의 다른 프로바이더나 컨트롤러에 주입할 수 있도록 합니다. 이러한 명시적인 종속성 관리는 NestJS의 유지 관리성의 핵심입니다.
사용 사례
NestJS 모듈은 엔터프라이즈급 백엔드 애플리케이션, 복잡한 API 및 TypeScript를 활용하는 마이크로 서비스 구축에 탁월합니다. 프레임워크의 강력한 타이핑, 의존성 주입 시스템 및 명확한 아키텍처 패턴 강조는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작업하는 개발자의 인지 부하를 크게 줄여 높은 신뢰성과 장기적인 유지 관리성이 필요한 시스템에 강력한 선택이 됩니다.
결론
Django 앱, Flask Blueprint 및 NestJS 모듈은 각각 모듈식이고 유지 관리 가능한 백엔드 애플리케이션 구축을 위한 매력적인 전략을 제공합니다. Django 앱은 포괄적이고 편향된 구조를 제공하는 반면, Flask Blueprint는 가볍고 유연한 접근 방식을 제공하고, NestJS 모듈은 강력한 종속성 관리를 통해 강력한 TypeScript 기반 아키텍처를 강제합니다. 그들 사이의 선택은 프로젝트 요구 사항, 팀 익숙도 및 원하는 프레임워크 편향 수준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이러한 모듈식 패턴 중 하나를 채택하면 애플리케이션의 구성, 확장성 및 장기적인 유지 관리성이 크게 향상됩니다. 복잡한 시스템을 관리 가능한 단위로 분해함으로써 개발자는 더 견고하고 적응력 있는 소프트웨어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