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엔드 개발에서 바운디드 컨텍스트와 애그리거트 루트 마스터링하기
Takashi Yamamoto
Infrastructure Engineer · Leapcell

소개
복잡한 백엔드 개발 세계에서는 강력하고 확장 가능하며 유지보수 가능한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애플리케이션이 복잡해짐에 따라 다양한 도메인 개념과 그 상호 작용을 관리하는 것은 상당한 도전이 됩니다. 명확한 아키텍처 접근 방식 없이는 개발자가 종종 긴밀하게 결합된 컴포넌트의 복잡한 구조에 얽매이게 되어 이해, 수정 및 테스트하기 어려운 "빅 볼 오브 머드(big ball of mud)" 아키텍처로 이어지곤 합니다. 바로 여기서 도메인 주도 설계(DDD) 원칙, 특히 애그리거트 루트(Aggregate Roots)와 바운디드 컨텍스트(Bounded Contexts)의 개념이 강력한 해결책을 제공합니다. 이들은 복잡한 도메인을 모델링하고, 대규모 시스템을 관리 가능한 조각으로 분해하며, 특정 보편 언어(ubiquitous language)와 도메인 모델이 존재하는 경계를 명확히 하는 구조적인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 글에서는 백엔드 프레임워크에서 애그리거트 루트와 바운디드 컨텍스트를 식별하고 구현하는 실용적인 적용에 대해 심층적으로 다루며, 애플리케이션 아키텍처를 단순화하고 도메인 이해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을 드립니다.
핵심 개념 이해
실용적인 내용으로 들어가기 전에, 앞으로 논의에서 자주 등장할 기본 용어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확립해 봅시다.
도메인 주도 설계(DDD): 비즈니스 도메인에 대한 깊은 이해와 도메인 전문가와의 긴밀한 협업을 강조하는 복잡한 소프트웨어 개발 접근 방식입니다. 비즈니스의 실제를 정확하게 반영하는 모델을 만드는 데 중점을 둡니다.
보편 언어(Ubiquitous Language): 특정 바운디드 컨텍스트 내에서 도메인 전문가와 소프트웨어 개발자 모두가 사용하는 공통되고 일관된 언어입니다. 이 언어는 오해를 방지하고 도메인 개념에 대해 모두가 같은 입장을 유지하도록 돕습니다.
바운디드 컨텍스트(Bounded Context): 특정 도메인 모델과 보편 언어가 정의되고 일관성을 유지하는 논리적 경계입니다. 대규모 시스템의 서로 다른 부분을 명확한 경계로 정의하는 데 도움이 되는 전략적 패턴입니다. 이 경계 외부에서는 특정 용어나 개념이 다른 의미를 갖거나 전혀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애그리거트(Aggregate): 단일 단위로 취급될 수 있는 도메인 객체의 클러스터입니다. 트랜잭션 일관성 경계 역할을 합니다. 일관성을 유지하기 위해 애그리거트 내의 객체에 대한 모든 변경은 단일 트랜잭션으로 커밋되어야 합니다.
애그리거트 루트(Aggregate Root): 애그리거트의 유일한 진입점입니다. 외부 객체가 참조를 보유하도록 허용된 유일한 객체입니다. 애그리거트 루트는 전체 애그리거트의 일관성을 유지할 책임을 집니다. 애그리거트에 대한 모든 작업은 애그리거트 루트를 통해 이루어져야 하며, 애그리거트 루트는 불변 조건(invariants)을 강제하고 트랜잭션 무결성을 보장합니다.
애그리거트 루트와 바운디드 컨텍스트 식별하기
바운디드 컨텍스트와 애그리거트 루트를 식별하는 과정은 종종 반복적이고 협업적인 노력이며, 일반적으로 도메인 전문가와 개발자가 참여합니다.
바운디드 컨텍스트 식별하기
바운디드 컨텍스트는 비즈니스 도메인의 특정 영역에서 고유한 의미를 갖는 특정 용어나 행동이 발생하는 곳에서 나타납니다.
원칙: 보편 언어가 상당히 다를 수 있는 영역, 또는 시스템의 한 부분에서의 변경이 다른 부분에 직접적이나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영역을 찾으십시오.
예시 시나리오: 전자 상거래 플랫폼을 고려해 봅시다.
- 주문 처리 컨텍스트: 여기서 "상품(Product)"은 창고에서 픽업해야 하는 품목을 의미할 수 있습니다.
- 카탈로그 관리 컨텍스트: 이 컨텍스트에서는 "상품(Product)"이 설명, 이미지, 가격 책정 및 SEO 메타데이터를 포함한 풍부한 속성 세트를 참조합니다.
- 결제 컨텍스트: 여기에서 "상품(Product)"은 송장 생성을 위한 가격이 있는 품목일 수 있습니다.
이들은 "상품"이라는 용어가 각 컨텍스트 내에서 다른 의미와 관련된 행동을 가지기 때문에 구분되는 바운디드 컨텍스트입니다. 카탈로그 관리 컨텍스트에서 상품 설명의 변경은 주문 처리 컨텍스트의 재고 상태에 즉각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을 수 있으며, 이는 분리되어 있음을 강화합니다.
애그리거트 루트 식별하기
바운디드 컨텍스트가 설정되면, 특정 도메인 안으로 들어가 애그리거트와 그 루트를 식별할 수 있습니다.
원칙: 애그리거트 루트는 경계 내에서 불변 조건(항상 참이어야 하는 비즈니스 규칙)을 시행해야 합니다. 이는 단순히 관련 데이터를 그룹화하는 것이 아니라 데이터 일관성에 관한 것입니다. 애그리거트 내의 여러 데이터 포인트에 영향을 미치는 작업은 애그리거트 루트의 메소드에 의해 캡슐화되어야 합니다.
예시 시나리오 (주문 처리 컨텍스트 내):
Order
애그리거트를 상상해 봅시다.
Order
는orderId
,customerInfo
,status
(예:PENDING
,SHIPPED
,DELIVERED
), 그리고OrderItem
목록을 가집니다.OrderItem
은productId
,quantity
,priceAtTimeOfOrder
를 가집니다.
잠재적인 애그리거트 루트: Order
자체.
왜 Order
가 좋은 애그리거트 루트인가:
- 트랜잭션 일관성: 주문이 접수, 업데이트 또는 취소될 때, 관련된 모든
OrderItem
과status
는 단일 트랜잭션 내에서 일관되게 업데이트되어야 합니다. 주문이 "배송됨"으로 표시되었지만 항목이 여전히 "보류 중"으로 표시되는 상황은 원하지 않습니다. - 불변 조건: "모든 품목이 준비되지 않았다면 주문을 배송할 수 없다." 이 불변 조건은
Order
애그리거트 루트에 의해 가장 잘 시행됩니다.status
를SHIPPED
로 변경하려는 모든 시도는 먼저 모든OrderItems
의 가용성을 확인해야 합니다. - 캡슐화: 외부 시스템은
OrderItem
을 직접 조작하는 대신 애그리거트 루트를 통해Order
애그리거트와 상호 작용해야 합니다 (예:order.shipOrder()
,order.cancelOrder()
,order.addItem(item)
).
Java/Spring Boot 예시 고려:
// Bounded Context: Order Fulfillment package com.example.ecommerce.orderfulfillment.domain; import java.math.BigDecimal; import java.time.LocalDateTime;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Collections; import java.util.List; import java.util.UUID; // Order에 대한 Aggregate Root public class Order { private UUID orderId; private CustomerInfo customerInfo; private OrderStatus status; private LocalDateTime orderDate; private List<OrderItem> items; // Aggregate Root에 의해 관리됨 // 팩토리 또는 빌더를 통해 생성을 강제하는 private 생성자 private Order(UUID orderId, CustomerInfo customerInfo, List<OrderItem> items) { this.orderId = orderId; this.customerInfo = customerInfo; this.status = OrderStatus.PENDING; // 초기 상태 this.orderDate = LocalDateTime.now(); this.items = new ArrayList<>(items); this.validateOrderInvariant(); // 초기 유효성 검사 } // Order를 생성하는 팩토리 메소드 public static Order create(CustomerInfo customerInfo, List<OrderItem> items) { if (customerInfo == null)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CustomerInfo cannot be null."); } if (items == null || items.isEmpty())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Order must contain items."); } // 추가적인 주문 생성 비즈니스 규칙 return new Order(UUID.randomUUID(), customerInfo, items); } // 불변 조건 시행의 예 private void validateOrderInvariant() { if (items.stream().anyMatch(item -> item.getQuantity() <= 0))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Order cannot contain items with zero or negative quantity."); } // 더 많은 불변 조건이 여기에 추가될 수 있습니다. } // Aggregate Root의 비즈니스 메소드 public void shipOrder() { if (this.status != OrderStatus.PENDING && this.status != OrderStatus.PROCESSING)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Order cannot be shipped from status: " + this.status); } // 잠재적으로 재고 확인 (다른 서비스와의 연동이 필요할 수 있음) // 단순화를 위해 상태 전환만 가정 this.status = OrderStatus.SHIPPED; // 이벤트 기반 아키텍처를 사용하는 경우 OrderShippedEvent 발생 } // 또 다른 비즈니스 메소드 public void addItem(OrderItem newItem) { if (this.status != OrderStatus.PENDING)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Cannot add items to an order that is not PENDING."); } // 중복 확인, 수량 병합 등 this.items.add(newItem); this.validateOrderInvariant(); // 변경 후 재검증 } // 불변 상태에 대한 Getter public UUID getOrderId() { return orderId; } public CustomerInfo getCustomerInfo() { return customerInfo; } public OrderStatus getStatus() { return status; } public LocalDateTime getOrderDate() { return orderDate; } public List<OrderItem> getItems() { return Collections.unmodifiableList(items); } // 애그리거트 지원을 위한 Enum, Value Object public enum OrderStatus { PENDING, PROCESSING, SHIPPED, DELIVERED, CANCELLED } // Value Object: CustomerInfo (불변) public static class CustomerInfo { private final String customerId; private final String customerName; public CustomerInfo(String customerId, String customerName) { this.customerId = customerId; this.customerName = customerName; } public String getCustomerId() { return customerId; } public String getCustomerName() { return customerName; } // Value Object 비교를 위한 equals 및 hashCode } // 애그리거트 내의 Entity: OrderItem (Order에 의해 수명 주기 관리) public static class OrderItem { private final String productId; private int quantity; private final BigDecimal priceAtTimeOfOrder; public OrderItem(String productId, int quantity, BigDecimal priceAtTimeOfOrder) { if (quantity <= 0)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Quantity must be positive."); } this.productId = productId; this.quantity = quantity; this.priceAtTimeOfOrder = priceAtTimeOfOrder; } public String getProductId() { return productId; } public int getQuantity() { return quantity; } public BigDecimal getPriceAtTimeOfOrder() { return priceAtTimeOfOrder; } public void increaseQuantity(int amount) { if (amount <= 0)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Amount to increase must be positive."); } this.quantity += amount; } // equals 및 hashCode 등 } }
이 예시에서 @Entity
(JPA/Hibernate에서)는 일반적으로 Order
클래스에 배치되어 데이터베이스에 영속되는 애그리거트 루트임을 나타냅니다. OrderItem
과 CustomerInfo
는 Order
에 의해 완전히 관리되는 임베디드 객체 또는 하위 엔티티로 처리되며, Order
의 저장 작업 외부에서는 직접 쿼리되거나 영속되지 않습니다.
이점 및 적용
바운디드 컨텍스트와 애그리거트 루트를 정밀하게 정의함으로써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중요한 이점을 얻을 수 있습니다.
- 모듈성 및 유지보수성 향상: 각 바운디드 컨텍스트는 독립적으로 개발, 테스트 및 배포될 수 있어 긴밀한 결합을 줄이고 시스템의 다른 부분을 쉽게 발전시킬 수 있습니다.
- 명확한 도메인 이해: 각 바운디드 컨텍스트 내의 보편 언어는 개발자와 도메인 전문가 모두가 모호함 없이 소통할 수 있도록 도와주어 더 정확하고 강력한 도메인 모델을 구축합니다.
- 향상된 데이터 일관성: 애그리거트 루트는 트랜잭션 일관성을 시행하여 비즈니스 규칙이 경계 내에서 항상 올바르게 유지되도록 하고, 손상된 데이터 상태를 방지합니다.
- 확장성 단순화: 바운디드 컨텍스트는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 자연스럽게 적합합니다. 각 컨텍스트는 자체 데이터베이스와 함께 별도의 서비스가 될 잠재력이 있어 독립적인 확장 및 기술 선택이 가능합니다.
- 복잡성 감소: 대규모 모놀리식 도메인을 작고 응집력 있는 바운디드 컨텍스트로 나누고, 다시 세분화된 애그리거트로 나누면 개발자의 인지 부하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개념을 적용할 때, 바운디드 컨텍스트는 서비스 경계(특히 마이크로서비스 아키텍처에서)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애그리거트 루트는 서비스/컨텍스트 내부의 일관성 경계를 정의한다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애그리거트가 너무 커지지 않도록 하는 유혹을 저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크면 성능이 저하되고 결합이 다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작고 특정 불변 조건을 시행하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결론
바운디드 컨텍스트와 애그리거트 루트를 식별하는 것은 효과적인 도메인 주도 설계의 핵심이며, 복잡한 백엔드 시스템을 일관성 있고 관리 가능하며 확장 가능한 아키텍처로 변환합니다. 이러한 원칙을 성실하게 적용함으로써 개발자는 정확한 도메인 이해를 촉진하고 애플리케이션의 트랜잭션 무결성을 보장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패턴을 수용하여 기능적일 뿐만 아니라 복원력이 있고 우아하게 구조화된 시스템을 구축하십시오.